사실, RAW 화일이 무엇인지도 정확히 몰랐는데,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화소에 받아들여진 빛을 별 가공 없이 그대로 정보화 한 화일이라고 이해하게 된 것은 최근의 일이었다. 상대적으로 일반적인 JPEG 화일은 카메라 내부에서 이미 좋게보이기 위한 화상 처리와 데이터 압축을 거친 결과라는 것도 명확히 알게 되었다.
그러나 인터넷에 발표된 좋은 사진들을 보니 대부분은 카메라에서 RAW 화일로 생성된 사진 정보를 받아 다시 가공한 것으로 되어 있어서 나도 그리 해보았다. 소니의 "Image Data Lightbox SR"이라는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아서 이것으로 카메라의 RAW 화일을 변환했는데, 결과적으로 카메라에서 이미 가공하여 JPEG으로 넘겨받은 사진보다 더욱 보기 좋게 되었다.
밝기, 명암, 색상, 선명도, 크기, 등등의 세세한 요소를 조절하여 입맛에 맞게 만들려면 원래의 정보가 잘 살아있어야 하는데 카메라의 이미지 센서에 받아들여진 정보를 그대로 간직해야 다음에 작업할 수 있는 여유가 많아진다는 것도 이러한 과정에서 이해하게 된 것이다.
카메라 제조 회사가 미리 작성한 카메라 내부의 변환 프로그램으로 가공 및 압축된 JPEG 파일로 보이고 출력되는 사진은 추가적 가공 노력 없이도 어느정도는 만족스러우며 편리하다. 그러나 작품으로서의 완성도는 물론 작가의 의도와 개성을 살리려면 초기부터 RAW 화일로서 저장하고 이용하는 것은 필수적이라 하겠다.
원래 크기로 보려면 사진에 클릭 |
RAW와 JPEG의 더욱 상세한 차이와 어느 것을 상황에 따라 선택하는 것이 좋은가에 대해 아주 잘 논술한 내용을 http://www.slrlounge.com/raw-vs-jpeg-jpg-the-ultimate-visual-guide 에서 찾아볼 수 있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